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키트루다 항암제 임상결과 요약

by lemontree42 2025. 5. 6.

키트루다 항암제 사진

KEYNOTE-522 임상시험 요약

Pembrolizumab (키트루다) + 화학요법 vs 화학요법 단독 (조기 삼중음성 유방암)

 

항목내용
시험명 KEYNOTE-522
설계 3상, 무작위배정, 이중눈가림 (randomized, double-blind)
대상 조기(high-risk), 국소 진행성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 (stage II–III)
목적 신보조+보조요법에서 키트루다 추가가 병리학적 완전관해(pCR) 및 사건 없는 생존률(EFS) 개선 여부 확인
피험자수 약 1,174명
치료군  
Pembrolizumab + 화학요법군  
— 신보조요법: Pembrolizumab + 화학요법 (Carboplatin + Paclitaxel → Anthracycline)  
— 보조요법: Pembrolizumab 단독 (27주)  
플라세보 + 화학요법군  
— 같은 화학요법 + 보조요법 시 플라세보 투여  
1차 평가 변수 ① 병리학적 완전관해(pCR)
② 사건 없는 생존률 (EFS)  
2차 평가 변수 전체 생존률(OS), 안전성 등
 

주요 결과 (2022–2023 발표 기준)

1️⃣ 병리학적 완전관해 (pCR)

→ 수술 시 종양·림프절에 암세포가 남아있지 않은 환자 비율

군pCR 비율
Pembrolizumab군 64.8%
화학요법 단독군 51.2%
 

13.6% 절대적 증가 (유의미한 개선, p < 0.001)


2️⃣ 사건 없는 생존률 (EFS)

→ 국소 재발, 원격 전이, 사망 없이 생존한 비율 (36개월 기준)

군36개월 EFS
Pembrolizumab군 84.5%
화학요법 단독군 76.8%
 

7.7% 절대적 개선 (위험비 HR=0.63, p < 0.001)


3️⃣ 안전성 (부작용)

— 면역관련 이상반응 증가 (갑상선염, 폐렴, 대장염 등)
— 전반적인 심각 부작용(Grade 3–4) 비율은 화학요법 단독군과 유사 (~78%)


임상적 의미

  • 삼중음성 유방암은 재발 위험이 매우 높은데, 키트루다 추가로 병리학적 완전관해재발 억제(EFS) 효과가 의미 있게 개선됨
  • PD-L1 발현 여부와 관계없이 효과가 나타남 (→ PD-L1 검사 불필요)

이 근거로 FDA 및 국내(식약처) 승인

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고위험군에서 신보조+보조요법으로 키트루다 사용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