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키트루다 면역항암제란?

by lemontree42 2025. 5. 5.

키트루다 항암제 사진

 

**키트루다(Keytruda, 성분명: pembrolizumab)**는 면역항암제의 일종으로, *PD-1(Programmed Death-1)*이라는 면역 억제 신호 수용체를 차단하는 **면역관문 억제제 (immune checkpoint inhibitor)**입니다. 키트루다는 암세포가 면역세포로부터 자신을 숨기는 능력을 무력화시켜, 몸의 면역세포(특히 T세포)가 암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공격하도록 돕습니다.

유방암에서 키트루다의 사용
키트루다는 여러 암종에서 사용되지만, 유방암에서는 주로 아래와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:

  1. 삼중음성 유방암 (Triple-Negative Breast Cancer, TNBC)
    PD-L1 양성의 진행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게 화학요법과 병용 요법으로 사용됩니다.
    — 삼중음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(ER), 프로게스테론 수용체(PR), HER2 모두 음성인 유방암으로, 전통적인 호르몬 치료나 HER2 표적치료가 불가능해 예후가 상대적으로 나쁩니다.
    — 키트루다는 여기에 *항암화학요법(예: nab-paclitaxel)*과 함께 투여하여 반응률을 높이고, 일부 환자에서 생존율 향상 효과가 나타납니다.
  2.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(Neoadjuvant & Adjuvant)
    — 고위험 국소 진행성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**수술 전(신보조요법)**으로 키트루다 + 화학요법을 사용하고, 이후 **수술 후(보조요법)**으로 단독 키트루다를 추가 투여하여 재발 위험을 낮추는 전략이 승인되었습니다.
    — 주요 임상시험: KEYNOTE-522 연구 — 키트루다 병용군에서 병리학적 완전 관해(pCR)율과 재발 없는 생존률(EFS)이 개선되었습니다.

장점
✅ 기존 화학요법 단독 대비 일부 환자에서 생존률·무재발 생존률 개선
✅ 면역반응 활성화를 통한 장기적 암 억제 가능성

부작용 (면역관련 부작용이 특징)
⚠️ 피로, 발진, 가려움증, 설사, 간기능 이상
⚠️ 면역 관련 이상반응 (자가면역성 갑상선염, 폐렴, 대장염, 간염 등) — 관리 필요


적응증 요약 (2025년 기준, 주요 승인)

전이성/재발성 삼중음성 유방암 화학요법 병용 PD-L1 양성 (CPS ≥ 10)
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신보조 + 보조요법 고위험 환자군 (KEYNOTE-522 근거)